
Jam Docu 강정
Jam Docu GANGJEONG
감독 directed by
경순 Kyung soon 김태일 Kim tae il 권효 Kwon hyo 양동규 Yang dong gyu
정윤석 Jung yoon suk 최하동하 Choi hadongha 최진성 Choi jin seong 홍형숙 Hong hyung sook
작품정보 Information
2011┃HD┃Color┃104┃Color & Black┃Documentary┃16:9┃stereo 5.1
Language : Korean ┃Subtitle : Korean / English
* Distributor. 시네마달
>> 공동체상영으로 만나요!
문의 : 시네마달
* Production Company. Jam Docu 사회적 제작단 * 사회적제작단 '시네마달'
>> 사회적 제작단이 되어주세요!
자세한 내용 확인하기
* [Jam Docu : 강정] 홈페이지
>> blog.naver.com/jamdocu
FESTIVALS/AWARDS
제 3회 DMZ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 3rd DMZ Korean International Documentary Festival
제 16회 부산국제영화제 16th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SYNOPSIS
8명의 영화감독이 제주행 비행기에 몸을 싣는다. 그들이 받은 특명은 제주 강정마을을 각자의 시선으로 카메라에 담아내는 100일간의 JAM 즉흥연주. 4년전 해군기지유치지역으로 선정된 후, 언론이 4.3 사건에 비유할 만큼, 이분된 마을은 극심한 갈등을 겪고 있다. 프라모델 마니아인 해군 출신 최감독은 해군기지사업단장에게 항공모함 프라모델을 선물하기 위해 사업단을 방문하고, 정감독과 음악영화를 찍고 있는 밴드 “밤섬해적단”은 이곳에서 자신들이 종북세력임을 커밍아웃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하는데..... 눈물겨운 노력에도 불구하고 기지유치 찬성측 주민들은 이들에게 차갑게 등을 돌린다..
Gangjeong Village located at the southernmost part of Cheju Island’s Seogwipo City is in the true sense a ‘breathtaking land of water’. In this film, eight directors independently yet collaboratively orchestrate a clever and humorous “mission” at this place where the groundwork for building a naval military base is in progress.
DIRECTOR’S NOTE
현안이 많을수록 참여하는 사람들의 마음은 치열해지지만 그로 인해 우리의 시각은 좁아질 때가 있다. 그래서 가끔 많은 사람들이, 마음과는 다르게 더 이상 함께 하기 힘들어하는 자신의 모습을 자책하기도 하고, 부러 멀리 하기도 한다. 각자의 작업에 바빴던 독립영화 감독들이 강정 마을의 해군기지 반대싸움을 바라보는 마음도 비슷했다. 이러한 마음들을 모아, 품앗이 하듯 한 판의 즉흥연주를 벌여보면 어떨까. <Jam Docu 강정>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이 영화는 8명의 감독 각자가 할 수 있는 만큼의 고민을 담아 만들어 낸, 이 사회에 던지는 참여의 작은 표시이다.
The more the issues come up, the more the people heat up. Thus, we become short-sighted sometimes. Many people blame themselves for finding it difficult (or unbearable) to stay with those in need and so try to keep away from them, contrary to their warm hearts. That is similar with how the independent filmmakers who were busy working on their own projects saw the fight against expansion of a U.S. military base in the beautiful coastal village, Kangjeong, Jeju in Korea. How about gathering the warm hearts altogether and play 'jam session' like exchanging works? That's how "Jam Docu KANGJEONG" started over. This documentary is a small gesture of participation thrown towards the society, which is made of the 8 filmmakers' best concerns.
FILMOGRAPHY
제주도 강정마을에 해군기지가 들어선다는 소식에 영화인들이 뭉쳤다. <쇼킹패밀리> 경순, <택시블루스> 최하동하, <경계도시> 홍형숙, <오월애> 김태일, <히치하이킹 > 최진성, <원웨이티켓> 권효, <별들의 고향> 정윤석, <섬의 아이> 양동규 등 총 8명의 감독이 그들이다. 8명의 감독들은 각자의 시선으로 강정마을에 대한 개성 넘치는 에피소드를 생산해냈으며 회의에 회의를 거듭한 끝에 8개의 시선을 하나의 톤과 리듬으로 조율해나갔다. 마치 음악의 잼 퍼포먼스를 닮은 즉흥성으로 이 프로젝트에 역동성을 부여하면서 결코 가볍지 않은 주제를 유쾌하게 변주하며 더 많은 이들에게 제주 강정마을을 알리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
경순 Kyung Soon
2010 레드마리아
2006 쇼킹패밀리
2004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2001 애국자게임 (공동연출)
1999 민들레 (공동연출)
권효 Kwon Hyo
2009 원웨이 티켓
2008 바르게 살까?
김태일 Tae-il Kim
2010 오월愛
2009 효순씨 윤경씨 노동자로 만나다
2008 농민약국
2005 안녕, 사요나라
2004 길동무
2003 나도 노동자이고 싶다
2000 4월 9일
1998 22일간의 고백
1996 풀은 풀끼리 늙어도 푸르다
1995 어머니의 보랏빛 수건
1995 분단을 넘어선 사람들
1993 원진별곡
양동규 Dong-gyu Yang
2009 어깨동무
2009 너+나를 위한 눈물
2008 섬의 하루
2006 평화의 설렘으로 한반도를 만나다
정윤석 Yoon-suk Jung
2010 별들의 고향
2009 불타는 신기루
2008 그를 찾아서
2007 Hochiminh
2007 우리나라에도 백악관
2006 Video killed the radio star
2005 박수
최진성 Jin-seong Choi
2011 이상,한가역반응
2010 저수지의 개들 take1. 남한강 with 윈디 시티
2009 나의 기도 (<불타는 필름의 연대기 시즌2> 중)
2006 에로틱 번뇌 보이
2005 카레라이스 이야기
2004 김추자 (퀴어 옴니버스 <동백꽃> 중)
2004 catch me if you can! (독립영화인 국가보안법 철폐 옴니버스 중)
2004 히치하이킹
2003 누구를 위하여 총을 울리나 (옴니버스 프로젝트 <제국> 중)
2002 행복한 청소년 건강한 대한민국
2002 그들만의 월드컵
2001 뻑큐멘터리-박통진리교
최하동하 Choi Hadongha
2005 택시블루스
2003 높은 언덕
2001 애국자게임 (공동연출)
1999 민들레 (공동연출)
1996 실연에 관한 짧은 필름
홍형숙 Hyung-sook Hong
2009 경계도시2
2004 미래제화 연구소
2002 경계도시
2000 시작하는 순간 - 두밀리 두번째 이야기
1998 본명선언
1996 변방에서 중심으로
1995 두밀리, 새로운 학교가 열린다
'달세계 영화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품정보] 오순도순 공부방 Oh-Soon-Doh-Soon (0) | 2011.11.17 |
---|---|
[작품정보] Jam Docu 강정 Jam Docu GANGJEONG (0) | 2011.10.04 |
[작품정보] 나비와 바다 Sea of Butterfly (0) | 2011.10.04 |
[작품정보] 레드마리아 Red Maria (0) | 2011.09.08 |